해야할 작업들. 스크롤 내렸을때 상단에 헤더가 고정 로고 좌측, 메뉴 우측 main 과 side 구분 및 아래 footer 부분까지 변경된 코드 내부 스타일 시트가 아닌 외부 스타일 시트 사용을 위해 헤드부분에 코드추가 헤더에 로고랑 메뉴 구분을 하기 위에 각각의 클래스명 부여 logo 메뉴 1 메뉴 2 메뉴 3 메뉴 4 메뉴 5 오늘은 구역만 나눠보기로 했다 header { position: fixed; top: 0; left: 0; right: 0; background-color: #f0f0f0; padding: 10px; } nav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 .Logo { flex: 1; } .Lo..
오늘 과제 만들고 싶은 사이트 - 단축주소, (일단 생각 안남) 등등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이트 참고사이트 - https://url.kr/ 참고사이트는 헤더, 메인, 푸터로 이루어져있지만(?) 내가 만들 사이트는 회원까지 필요해서 사이드에 로그인창 및 다른 요소를 넣을 예정 대략적인 와이어프레임 코드 logo 메뉴 1 메뉴 2 메뉴 3 메뉴 4 메뉴 5 Main Sidebar Footer 파일 본 후기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과정 학습/프로젝트/과제 기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첫날 과제 1. 본 강의를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부트캠프 수료 이후 취업과정에서 기본기랑 cs 지식이 부족한거 같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2. 강의를 이수하고나서 기대되는 변화가 있나요? ai 활용한 프로젝트 이력 3. 개발자란 무엇일까? 본인이 생각하는 개발자는? 없던거를 만들어내는 사람 4. 개발자가 된다면 무엇을 개발하고 싶고 어떤 회사/일을 다니고 싶은가요? 내가 개발자로서 성장할수있는 회사 5. 본인이 만들고 싶은 웹사이트가 있다면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비슷한 웹사이트나 제품이 있다면 참고할만한 url 혹은 자료를 첨부해주세요. 단축 url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는 웹사이트 본 후기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과정 학습/프로젝트/과제 기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오늘 10시부터 저녁6시까지 발대식이 있었지만.. 놀러왔다가 폭우로 기차가 다 운행중지..???!! 그래서 미참석했지만 자료를 받아 안내에 따라 진행했다 이전 캠프에서 ZEP, 노션, 슬랙을 사용해서 유데미 계정만 새로 만들었다. 이번 AI + 웹개발 취업캠프를 참여하게 된 이유는 취업과정에서 CS가 많이 부족한걸 느꼈고 번아웃도 오고... 그래서 (왜 포지션제안은 다른 직무에서만 올까.. ㅋㅋ ㅎㅎ) 혼자로썬 추가적인 공부를 하기 힘들거 같아 같이 공부할 사람들이 있다면 동기부여가 될거같아 참여하게 되었다. 본 후기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주관하는 과정 학습/프로젝트/과제 기록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로벌로 Nest.js 를 설치합니다. npm i -g @nestjs/cli 설치 되었는지 확인 # nest 명령어 보기 nest # 설치 버전 확인 nest -v github에 있는 프로젝트를 clone 해준다. git clone 프로젝트 실행 # 폴더 이동 cd # 프로젝트 시작 npm run start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 node.js 버전 매니저 설치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3/install.sh | bash # 설치 완료 후 아래 커맨트 입력 source ~/.bashrc curl가 설치 안되어있다면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curl nvm 설치 완료 후 PuTTY를 재접속해주고 nvm --version 으로 설치되어 있는 정보를 볼 수 있다. 최신 노드 LTS을 설치한다. nvm install --lts 버전 설치 후 node -v로 버전확인 하려고 하는 순간 에러가 발생했다 node: /lib/x86_64-linux-gnu/libc.so.6: v..
1년간 무료로 사용가능한 Micro Server로 배포 아래처럼 서버 생성을 해준다. 다음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안내창이 뜬다 각 부분을 선택하고 다음! 생성할 인증키 이름을 입력하고 [인증키 생성 및 저장] 버튼을 누르면 (인증키 이름).pem 파일이 받아진다. 이미 생성한 ACG가 있어 선택 후 다음으로 넘어감 ACG는 AWS의 보안그룹이라고 생각하면 될거같다. 서버 정보들을 마지막으로 보여주고 넘어간다. 라고 뜨면서 나는 8분 정도 후에 상태가 운영중으로 넘어왔다. [포트 포워딩 설정] 버튼 또는 [ㅁ] 버튼을 눌러 포트 포워딩 설정 화면을 띄워준다. 일단 공인 IP는 나중에 발급받기로 하고 서버 접속용 외부 포트를 열어준다 [1024]를 열어줬다. PuTTY를 통해 서버에 접속해 준다. PuT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