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캠프/내일배움캠프

[ TIL ] 11.21(월) 6일차

고랑E 2022. 11. 21. 21:00
728x90

오늘은 예비군이 있어 미리 담임매니저님과 팀원분들에게 얘기를 하고 예비군을 갔다왔다

 

20,21년 원격교육을 다 들어서 4시간 조기퇴소를 했다 ㅎㅎ

(과거의 나 칭찬해~)

 

내배캠에서 예비군이 출석인정이 되서 공가 처리를 위해 매니저님이 내배캠119 구글폼을 이용해

전자서명을 보낼 메일 주소를 보냈고

'모두싸인' 이라는 전자계약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서명 및 증빙서류를 제출했다

 

그 후 오늘 있던 발제 영상이 공지에 올라와서 보고 첫 수업인 파이썬 문법 기초를 강의를 봤다


파이썬 문법 기초


연산자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제곱
% 나머지 구하기
// 나누고 소수점 이하 버림

변수

 

변수는 언제든 그 값이 변할 수 있다.

임의 혹은 영구적으로 값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소로 사용된다.

변수는 영문자나 언더바로 시작할 수 있고, 대,소문자를 구분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 값 로 사용된다.

a = 3        # 3을 a에 넣는다.
print(a)
b = a        #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
print(b)
a = 5        #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
print(a, b)

숫자형 자료형

 

연산자를 통해 숫자 간에는 사칙연산이 가능

변수에 저장된 값에 연산을 한 후 다시 그 값을 같은 변수에 저장 가능

 

a = 7
b = 2
c = a/3
d = a//3
e = a%3
f = a**b

print(a)
print(b)
print(c)
print(d)
print(e)
print(f)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3*b)
print((a+3)*b)

a = a + 3
print(a)

a += 3
print(a)

Bool 자료형

 

참/거짓을 나타내는 불(Boolean) 자료형

> 크다
< 작다
>= 크거나 같다
<= 작거나 같다
== 같다
!= 같지 않다

문자열 다루기

 

문자열은 ' ' (작은따옴표) , " " (큰따옴표)

a = "aa"
b = 'aa'

 

문자열 연산

first_name = "bin"
last_name = "jang"
print(first_name + last_name)

len() 함수를 써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print(len("abcde"))
print(len("Hello, Sparta!"))
print(len("이것으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문자열 슬라이싱

split('문자열') 을 활용해 특정 문자열로 자를 수 있다.

text = "sparta"
text2 =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4기"
print(text[:3])
print(text + text2[4:])

myemail = 'jangbin@kakao.com'

domain = myemail.split('@')
print(domain)

phone = "02-123-1234"
print(phone.split("-")[0])

 


append 로 붙이기

a = [1, 2, 3]
a.append(5)
print(a)

a.append([1, 2])
print(a)

딕셔너리 (dictionary)

딕셔너리는 키(key)와 벨류(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이다.

person = {"name":"Bob", "age": 21}

print(person["name"])

people = [
    {'name': 'bob', 'age': 20, 'score':{'math':90,'science':70}},
    {'name': 'carry', 'age': 38, 'score':{'math':40,'science':72}},
    {'name': 'smith', 'age': 28, 'score':{'math':80,'science':90}},
    {'name': 'john', 'age': 34, 'score':{'math':75,'science':100}}
]

print(people[3]['score']['science'])


person = {"name":"Bob", "age": 21}

print("name" in person)
print("email" in person)
print("phone" not in person)

조건문

if, else, elif 문

money = 5000
if money > 3800:
    print("택시 타자!")

money = 2000
if money > 3800:
    print("택시 타자!")
else:
    print("걸어가자...")


age = 27
if age < 20:
    print("청소년입니다.")
elif age < 65: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무료로 이용하세요!")

반복문

fruits = ['사과', '배', '감', '귤']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for num in num_list:
    if num % 2 == 0:
        print(num)

함수

def hello():
    print("안녕!")
    print("또 만나요!")

hello()

집합

set중복이 제거 됩니다.

a = [1,2,3,4,5,3,4,2,1,2,4,2,3,1,4,1,5,1]
b = ['사과','감','수박','참외','딸기','수박','감']

a_set = set(a)
b_set = set(b)

print(a_set)
print(b_set)

f-string

scores = [
    {'name':'영수','score':70},
    {'name':'영희','score':65},
    {'name':'기찬','score':75},
    {'name':'희수','score':23},
    {'name':'서경','score':99},
    {'name':'미주','score':100},
    {'name':'병태','score':32}    
]

for s in scores:
    name = s['name']
    score = str(s['score'])
    print(f'{name}은 {score}점입니다')